본문 바로가기

재테크 이야기

적금 이자 정확히 계산하기


사회 초년생 시절, 

1년 만기 적금을 들고 


한달에 100만원씩 넣어 총 1,200만원을 넣고 

1년 뒤 의기양양하게 적금을 찾으러 갔을 때 

생각과 다른 이자를 받고 은행원 누나에게 


"이거 좀 (많이) 이상해요." 


했던 적이 있습니다. 


당시 금리는 기억나지 않는데, 

만약 5% 였다면,


제가 계산한 방식은


총액 1,200만원 * 5% = 60만원


이자만 60만원이어야 하는데,

제가 받아든 이자는 그 반도 안되는 274,950원 이었습니다.



은행원 누나는 저에게 뭐라뭐라 설명해 줬는데

당시에는 도저히 이해가 안되었습니다. 

완전 외계어였죠.


제가 계속 눈에 ? ? 를 그리고 있자, 


은행원 누나가 저에게 표를 하나 그려서 보여줬습니다.


그 표의 내용을 지금 다시 정리하면 이렇게 됩니다.









저는 이 표를 

받아들고 

이해한 순간

눈물을 흘렸습니다. 




적금 이자 계산방법은 이랬습니다. 


첫번째 달에 넣은 100만원은 은행에 12개월동안 있게 됩니다. 

두번째 달에 넣은 100만원은 은행에 11개월동안만 있게 됩니다. 


그래서 첫달에 넣은 100만원에 대해서는 이자를 12달치를 쳐줍니다. 

두번째 달에 넣은 100만원 대해서는 이자를 11달치만 쳐줍니다. 


보통 우리가 말하는 금리는 "연금리" 입니다. 

여기서 "연"은 1년을 말하고 

1년 동안 돈을 맡기면 주는 이자를 뜻합니다.


연금리 10%인 곳에 6개월간 돈을 맡기면 그 반인 5%의 이자를 줍니다. 



연금리 5%인 적금에 12개월동안 넣어두고 있으면 그 돈에 대해서만큼은 1년치 금리 5%를 다 주지만,

11개월 동안만 넣어두면 1년을 12달로 나누어 그 중 11, 결국 11/12의 금리만 주게 됩니다. 


그래서 두번째 달에 입금한 돈에 대한 이자는, 


100만원 * 5.0% * (11/12) 이 됩니다. 


세번째 달에 입근한 돈은 10달동안만 은행에서 쓰게 되니 


이자가 100만원 * 5.0% * (10/12)가 됩니다. 



달이 갈수록 이자는 점점 줄어들겠죠.

맨 마지막 달에는


100만원 * 5.0% * (1/12) 가 되니까요.


마지막 달에 입금한 100만원에 대한 이자가 4,167원이 되네요. 


첫번째 달에 입금한 100만원에 대한 이자는 5만원인데요.


암튼 적금 만기가 되면 12달의 이자를 다 모읍니다. 


이렇게 다 더하면 325,000원이 됩니다. 


그런데 이게 끝이 아니죠. 

세금이 있습니다. 


이자 수입에 대해서는 항상 15.4%의 세금을 내야 합니다. 


이자가 325,000원이었으니까, 


325,000 * 15.4% = 50,050 


세금이 50,050원이네요.


그래서 우리는 이자를 세전, 세후 라고 나눠서 부르게 됩니다. 


세전은 "세금을 내기 전" 이라는 뜻이고

세후는 "세금을 내고 난 후" 라는 뜻입니다. 


이 경우 [세전 이자]는 325,000원입니다. 

그리고 그렇잖아도 기대치보다 낮았던 이 작은 이자에,


15.4%만큼 세금을 거두어 갑니다. 


이걸 이자소득세 라고 부릅니다. 


(정확히는 이자소득세는 14%이고, 이 이자소득세의 10%만큼 농어촌특별세가 붙는 거. 

그래서 총 세금은 이자소득세 14% + 농어촌특별세 1.4% = 15.4%가 됨)


그래서 세금은 


325,000원 * 15.4% = 50,050원


이고, 


적금 만기 때 받는 돈 = 원금 + 이자 - 세금


원금 1,200만원 + 이자 325,000원 - 세금 50,050 = 274,950 원이 됩니다. 


세금을 다 내고 남은 이자니 이게 [세후 이자]지요.



엑셀을 이용한 계산법은 아래 동영상으로 확인하세요.





처음엔 60만원 이자 받을 줄 알고 갔다가 반토막만한 이자를 받아들고

(거기에 세금까지 내야 한다는 사실에 부들부들떨며)

정신줄을 놓았던 기억이 납니다. 



요즘엔 이렇게 따로 계산하지 않아도

스마트폰 앱에서 적금 계산을 다 해줍니다. 


모네타의 [스마트 금융 계산기] 같은 앱을 쓰시면 큰 도움이 되실 거에요.


<사진출처 : 구글 플레이>